몇년까지만 해도 RadView 라는 회사에서 만들어서,
판매를 하던 WebLOAD라는 툴이 오픈소스로 바뀌었다.
(예전에 박XX 수석이 오픈소스로 바뀌었다고 알아보라고 해서,
설마~~ 했는데 정말 오픈소스로 바꿨네...)
http://sourceforge.net/projects/webload/
왜 이런 결정을 내렸을까?
잘 안팔려서 ???
아마도 WebLOAD의 경우에는 제약사항이 많은 성능 테스트를 하기에는
너무 부족하다는 판단을 내린 것 같다.
약 80MB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해 본 결과...
어떻게 이런걸 팔아먹을 생각을 했나~~~ 라는 생각이 강하다.
뭐 테스트 스크립트 작성하거나 부하 주는 것은 잘 만들어져 있는데,
결과를 분석하기가 참 거시기하다.
WebLOAD의 메뉴얼은 소스포지 사이트에서 웹로드를 다운로드 할 때 같이 받을 수 있다.
판매를 하던 WebLOAD라는 툴이 오픈소스로 바뀌었다.
(예전에 박XX 수석이 오픈소스로 바뀌었다고 알아보라고 해서,
설마~~ 했는데 정말 오픈소스로 바꿨네...)
http://sourceforge.net/projects/webload/
왜 이런 결정을 내렸을까?
잘 안팔려서 ???
아마도 WebLOAD의 경우에는 제약사항이 많은 성능 테스트를 하기에는
너무 부족하다는 판단을 내린 것 같다.
약 80MB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해 본 결과...
어떻게 이런걸 팔아먹을 생각을 했나~~~ 라는 생각이 강하다.
뭐 테스트 스크립트 작성하거나 부하 주는 것은 잘 만들어져 있는데,
결과를 분석하기가 참 거시기하다.
WebLOAD의 메뉴얼은 소스포지 사이트에서 웹로드를 다운로드 할 때 같이 받을 수 있다.
'Tools & Guides > Performan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oadRunner] 로드 런너 파라메터 지정하는 법 동영상 (Parameter setting) (0) | 2008.08.22 |
---|---|
[Load Runner] LR 8.1의 VUGen (Virtual User Generator) 프로그램이 자꾸 죽을때 (0) | 2008.08.21 |
[Free Performance Test Tool] 무료 성능 테스트 툴 - WebLOAD (2) | 2008.07.24 |
[Link] 무료 테스트 툴 목록 (Open source test tool list) (0) | 2008.07.24 |
[Performance Tool] 무료 성능 테스트 툴 - JMeter (0) | 2008.06.24 |
[Performance Tool] 무료 성능 테스트 툴 - MS Web Application Stress tool 다운로드와 사용법 (0) | 2008.06.24 |
댓글을 달아 주세요
webload 의 오픈소스 concept 은 다른 오픈소스의 개념과 마찬 가지로 소스의 일부분을 open 하여 그에 관련된 각종 시스템의 요소들(예릉 들면 adobe 의 Flex, web 2.0 혹은 다른 보안 툴 들)에게 테스트를 용이하게 하기위한 interface 나 compatebility 를 제공하기 위해 공개하는 개념입니다. 이는 webload 의 무결점을 나타냄과 동시에(그만큼 상품에 대한 자신이 있다는 의미) 다양한 웹환경의 시스템 구성요소들이 복합적으로 혹은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여 서로의 interface 환경을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입니다. 이는 향후 웹 2.0 을 넘어 3.0,4.0 으로 관념적인 개념이 아니라 실재 엔지니어링 및 R&D 의 win-win 을 위한 자신감있는 조처라고 보시면 됩니다. 물론 더 잘 팔리겠죠. 그만큼 열린공간 이니까요
WebLOAD와 로드러너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입니다. WebLOAD는 오픈 버전과 상용 버전이 따로 있습니다. 오픈 버전은 당연히 기능상의 제약이 많아서, 테스팅할 수 없습니다. 상용버전은 용량도 300MB가 넘고요. 최근에 릴릴즈된 8.3 버전은 많이 알려진, 가지고 있는 로드러너와 견주어 기능상의 별다른 차이가 없네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