Fedora도 OS 이기 때문에, 설치한 이후에나
어느정도 사용한 이후에 update를 수행해 주어야 한다.
콘솔을 연 이후에
yum -y update
명령어만 치면 알아서 update 한다.
문제는 internet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,
update하는데 엄청난 시간이 소요되므로,
밥먹으러 가거나 퇴근할때 이 명령어를 수행하는것이 좋다. ^^;
'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SP game] Downstream Panic Solutions. 다운스트림 패닉 답 링크 (0) | 2008.03.27 |
---|---|
[Javascript Link] Javascript를 사용하면서 필요한 모든 참조자료가 있는 사이트 (0) | 2008.03.12 |
[블로그 관리 관련] Lightbox plus (Light TT EX)를 적용할 때... (0) | 2008.03.12 |
[Fedora] Fedora update 하기 (1) | 2008.02.27 |
[Fedora] Fedora 부팅 순서 변경 방법 (0) | 2008.02.27 |
[기타] Windows Live Writer 다운로드 및 설정법 (0) | 2008.02.26 |
댓글을 달아 주세요
rsync를 활용해 Update RPM 저장소를 내부 FTP에 동기화시키고, 그곳을 업데이트 저장소로 활용하면 업데이트가 한결 빠릅니다. rsync는 cron을 활용해 사람이 없는 시간에 주기적으로 해주시면 좋습니다. /etc/yum.repos.d/에 저장소 절대 경로를 지정하실수 있습니다. 자신 뿐아니라 모두의 업데이트가 빨라져 좋습니다 =)